“국산차 RV, 대형, 고급차 아니면 안산다” 국내 세단 시장 침체

국산차 침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세단 시장이 안좋게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005380)의 첫 세단형 전기차인 아이오닉6와 신형 그랜저가 올 하반기 세단 시장의 유망작으로 꼽힙니다. 다만 두 차종 모두 4분기 출시가 유력해 올해 국내 시장에서 세단 판매는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RV, SUV – 처음으로 국산차 전체 판매 절반 넘겨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지난 8월 발간한 ‘7월 자동차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국산차(대형 상용차 모두 포함) 총 판매량은 79만378대를 기록했습니다. 그 중, 403,855대가 레크리에이션 차량(RV) 모델이었습니다. RV 비중은 50.8%로, 연간 기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국산차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넘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45.1%보다 무려 5.7%포인트나 비중이 늘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국산차 전체 판매량은 88만대에서 79만5천대로 9.7%나 줄었습니다. 상용차를 제외한 승용차 전체 판매량도 73만4000대에서 66만6000대로 9.2% 줄어든 반면, RV모델 판매량은 1.7% 증가해 비중이 크게 늘었습니다.

반면 RV를 제외한 세단형 차량은 26만2537대 판매에 그쳤습니다. 세단은 전년 동기 대비 22.2% 줄었고, 전체 국산차 비중은 33%로 전년보다 5.3%포인트 감소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가뜩이나 RV 모델의 강세로 타격을 받은 세단 시장은 입지가 좁아지면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세단 시장 안에서도 이른바 대형차나 고급차가 아니라면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중대형·고급차의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성능 대비 가격비를 중시하는 중저가차 판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15년 이후 RV 모델 판매가 크게 늘었고, 세단 판매는 계속 감소하는 반면 중대형차와 고급차 판매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에볼루션 카지노 분류 기준에 따르면 2000cc 이상 중대형 세단과 3000cc 이상 대형 세단은 2015년 18만2948대에서 2020년 26만4922대로 늘었습니다.

대형차와 고급차도 2015년 23.5%에서 2020년 처음으로 40.2%를 기록하며 세단 모델 부문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중대형 이상 국산 고급차 판매 비중은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변동성 확대로 36.7%로 떨어졌지만, 올해 1~7월 기준 37.7%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과거 대비 높은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종별 판매실적을 살펴보면 과거 국민차의 명성을 떨친 중·하위 차종의 이름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소형 상용차인 포터가 한국에서 월간 베스트 카지노 차량으로 네 차례 선정됐습니다. 게다가, 그랜저와 제네시스 G80은 각각 두 번과 한 번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올해 7월 기준 누적 기준 5위 안에 중형급 이하 모델은 없습니다. 포터가 5834대로 1위, 그랜저가 4449대로 2위, 쏘렌토가 3만8717대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4위와 5위도 봉고와 카니발입니다. 다행히도, 아반떼는 32,333대로 6위를 차지했습니다.

“RV, SUV모델과 중대형급 이상 세단 쏠림 현상”

RV 모델과 중대형 세단을 향한 이런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중형·하위 세단 모델은 한동안 출시됐고,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전기·하이브리드 모델은 주로 RV 모델에 집중돼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 출시된 국산 신차인 쌍용자동차의 토레스도 출시 두 달 만에 예약판매 6만대를 돌파하며 RV의 인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이오닉6와 그랜저도 4분기 출시가 유력해 연내 세단 판매량을 끌어올릴 시간이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차체의 크기와 가격, 제품 포지셔닝 등을 고려할 때 아이오닉6와 그랜저도 중대형 고급차로 분류돼 중저가 세단 시장이 불가피합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RV 모델의 제품 품질 향상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활동 증가, 보복소비 증가, 넓고 쾌적한 공간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상황으로 RV 모델의 확산세가 주춤하지 않고 있다”며 “자동차 더 세단”이라고 말했습니다. 시장도 관심도가 높은 국내 고객 특성상 고급형 위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